수도권 전철/역사 97

수인선 신포역 [2016.08]

수인선 신포역. 인근에 닭강정으로 유명한 신포국제시장과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이 있다. 신포역 1번 출구 4번 출구 6번 출구 신포역의 가장 큰 특징이 드러나 있는 2번 출구. 인근에 있는 등록문화재인 구 세관창고를 본따서 만들었다. 인근의 문화재로 역 출구를 만들 생각을 하다니.. 설계자의 센스가 돋보인다. 엘리베이터도 2번 출구를 따라 벽돌로 치장했다. 인천 세관 구 창고. 이 귀중한 문화재가 수인선 공사 때문에 사라질 뻔했다. 2번 출구를 세관 창고를 본따서 만든걸 보면 정말 아이러니하다. 심지어 환풍시설까지 구 창고를 본따 만들었다. 대합실. 신포역은 수인선 역중 유일하게 반대편 플랫폼으로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다. 인천과 관련된 여러 타일벽화들 플랫폼 역명판. 상대식 플랫폼이지만 웬 일인지 섬식 플..

수도권 1호선 인천역 [2015.08]

수도권 1호선 인천역. 부역명은 차이나타운. 한국 철도 최초이자 최고(最古)의 시종착 역이라 할 수 있으며 수인선과의 환승역이자 경인선의 얼마 없는 화물 취급역이다. 차후에 제2공항철도로 인천국제공항까지 연결할 계획이 있다. 인천역 역사. 수도권 전철역 치고 모던 해보인다. 역사 앞 조그만한 정원. 가운데에는 중구 홍보문도 있다. 수인선 공사 현장. 물론 수인선이 개통되도 역전 도로는 몇 개월이 지나야 비로소 정상화되었다고 한다. 인천시 희대의 망작 월미 은하레일도 인천역 바로 옆에 있다. 인천은하역 입구. 현수막에 모노레일로 전환한다고 쓰여져 있지만 아직까지도 그 사업마저 삐걱거리고 있다. 이게 도대체 뭐하는 짓인지... 한국철도 탄생역 기념비. 인천역은 역사적으로 정말 가치가 있는 역이지만 정작 이 ..

수도권 1호선 동인천역 [2015.08]

수도권 1호선 동인천역. 경인선 급행열차의 시종착역이다. 동인천역 남쪽에는 신포까지 이어지는 지하상가가 있고, 북쪽으로는 송현시장이 있다. 이력이 조금 복잡한데 1899년 개통 당시에는 축현역이었다가 일제에 의해 1926년 상인천역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해방이후 일제의 잔재를 없애기 위해 다시 축현역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55년 최종적으로 동인천역이라는 이름으로 바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동인천역 역사 전경. 1989년에 민자역사가 들어서서 규모는 상당하지만 막상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듯이 내부엔 아무 것도 없다. 2016년후반기에 사후면세점이 들어온다고 하지만 지금까지도 별다른 소식이 없으니... 동인천역 광장 공사 현장. 역명판4번 출구. 입구 쪽에 경인선을 상징하는 최초의 증기..

수도권 1호선 구일역 [2015.08]

수도권 1호선 구일역. 부역명은 동양미래대학이며 인근에 한국 최초의 돔야구장인 고덕스카이돔이 있다. 경인선의 첫 번째 역이다. 1995년 교통시설이 열악한 구로1동 사람들을 위해 신설되었다. 현재 구일역에는 급행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 서쪽 출구 공사 현장. 구로1동 주민의 염원과 고덕 스카이돔 건설로 인해 2016년 개통되었다. 구름다리에서 찍음 구일역 역사. 한국에서 거의 볼 수가 없는 철교위에 설치된 역사이다. 건설 당시 돈이 많이 깨졌을 듯... 1번 출구 대합실 행선판. 이 역에 특이한 점이라면 상하행 플랫폼의 층수가 다르다는 것이다. 급행 플랫폼 쪽 계단. 거의 쓰지 않는 플랫폼이니 쇠사슬로 막아놓았다. 상행 플랫폼. 이곳에 종종 투신사고가 일어나는 편이라서 2014년에 설치되었다. 상행 역..

수도권 1호선 당정역 [2016.03]

수도권 1호선 당정역. 2010년 개업한 역이다. 부역명은 한세대. 앞 역인 군포역으로부터 가져왔다. 당정역이 개업된 이후 승객이 점점 느는데 비해 군포역은 이용객이 점점 감소해 결국 작년에 당정역 이용객 수가 군포역을 넘어 버렸다. 역사 전경 1번 출구 2번 출구 3번 출구 3번 출구 쪽에 있는 당정근린공원. 공영주차장 근린공원 쪽에서 찍어본 당정역 역사 대합실 플랫폼. 6년 밖에 안 된 역인데 벽은 의외로 벽돌로 되어있다. 안전펜스 역명판 촬영 일자 : 2016.03.01

수도권 1호선 군포역 [2015.08]

군포역. 1905년 군포장역으로 개업하였다가 1937년에 군포역으로 변경, 1974년 전철이 다니기 시작하였다. 현재는 수도권 1호선 완행과 서울-천안 급행열차가 정차한다. 한세대라는 부역명이 있었으나 당정역이 개업한 이후 한세대가 군포역보다 당정역이 더 가까워서 부역명은 폐기되었다. 역사 전경. 출구 계단과 대합실, 그리고 플랫폼만고는 별게 없는 기본적인 것만 구성된 역이다. 1번 출구. 화장실 군포 역전시장 지하철 출구에서나 볼 수 있는 역명판. 서울메트로은 저걸 없애는 추세인데 군포역은 여전히, 더군다나 역 광장에다 설치해 두었다. 시계탑 2번 출구. 구도심 지역인 1번 출구와 다르게 2번 출구 근처는 군포공단이다. 자전거 거치대 승강장 끝쪽으로 보면 2000년 이전에 여객열차를 세울 때 썼을 저상..

수인선 송도역 [2015.08]

수인선 송도역. 1937년 협궤 철도로 개업되었으며 1994년 수인선 폐지로 인해 폐역되었으나 2012년 18년 만에 복선전철로 재개업되었다. 참고로 송도신도시하고는 관련이 없다. 2020년대에 이 역에서 KTX가 정차할 예정이며 더불어 복합환승센터까지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역사 전경 송도역 폴사인 대합실 열차 도착 안내 LED와 행선판. 수인선이 인천으로 연장된 지금 송도행은 볼 수가 없는 행선지가 되어버렸다. 역시 코레일의 땜질 능력은 경악을 금치 못한다... 플랫폼 안내 데스크. 저기에 사람이 있는걸 본 적이 없어서 신설 역에는 없는 줄 알았는데 지은지 몇 년 안되는 역에도 이런게 있을 줄이야.. 수인선 2구간 공사 사무소. 물론 공사가 끝난 지금은 철거되었을 것이다. 역명판 촬영 일자 : 2015..

서울 2호선 문래역 [2014.08]

서울 2호선 문래역. 개통이전에 가칭이 문래3가이고 신도림역이 문래역이었지만 개통시에는 현재처럼 바뀌었다. 문래역 2번 출구 3번 출구 출구 내부 역명판 대합실. 플랫폼간 횡단이 불가능하니 주의 물레 전시관. 문래라는 이름이 물레에서 따왔다는 설이 있어서 그런지 전시해 놓았다. 실제로 문래를 표준발음법에 따라 발음하면 물래가 되니 일리가 있다. 플랫폼. 2011년에 리모델링을 해서 전체적으로 하얗고 깨끗하다. 역명판. 리모델링하면서 플랫폼측 역명판만 서울남산체로 바뀐게 특징. 촬영 일자 : 2014.08.16

서울 2호선 도림천역 [2014.08]

서울 2호선 도림천역. 정확히 말하자면 2호선의 지선인 신정지선의 역이다. 아래 지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연계 대중교통도 미흡하고 위치도 강변 끝자락에 있다. 덕분에 승하차수는 신정지선, 아니 서울 2호선역 중에서도 꼴찌를 차지하고 있다. 도림천역 1번 출구 2번 출구. 이렇게 보니 역사가 마치 시골 간이역 같아 보인다. 도림천역이 마주보는 도림천의 모습. 역시 꼴지가 된 건 이유가 있어서 그런 것이다. 대합실. 사람이 없어서 그런지 상가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플랫폼과 대합실간을 이어주는 계단 도림천역도 자연채광을 사용하고 있다. 다른 점이라면 양천구청역은 플랫폼까지 햇빛이 들어오지만 이 역은 계단까지만 들어오는 것. 플랫폼 역명판 촬영 일자 : 2014.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