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1호선 34

수도권 1호선 성균관대역 [2016.08]

수도권 1호선 성균관대역. 2번 출구로 700m정도 걸어가면 성군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가 있다. 1979년 율전역으로 새로 개업했으며 성균관대에 요청으로 1984년 성대앞역으로 바뀌었고 10년대 다시 성균관대역으로 제대로 변경되어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 역사 전경. 청록색 기와가 인상적이다. 계단 밑에서 촬영한 역사. 성균관대 신축 안내문. 승하차량은 많은 편이지만 1979년 개업 이후 역사를 계속 써온 탓에 2014년부터 신축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합실. 너무 낡아서 그런지 전철역이 아닌 시골 버스터미널 같은 분위기가 난다. 심지어 통로에는 구형 여닫이문도 남아있다. 플랫폼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 설치공사로 인해. 플랫폼 일부 구간이 좁아진데다가 지붕도 철거되어 임시 지붕을 따로 설치해 두었다. ..

수도권 1호선 인천역 [2015.08]

수도권 1호선 인천역. 부역명은 차이나타운. 한국 철도 최초이자 최고(最古)의 시종착 역이라 할 수 있으며 수인선과의 환승역이자 경인선의 얼마 없는 화물 취급역이다. 차후에 제2공항철도로 인천국제공항까지 연결할 계획이 있다. 인천역 역사. 수도권 전철역 치고 모던 해보인다. 역사 앞 조그만한 정원. 가운데에는 중구 홍보문도 있다. 수인선 공사 현장. 물론 수인선이 개통되도 역전 도로는 몇 개월이 지나야 비로소 정상화되었다고 한다. 인천시 희대의 망작 월미 은하레일도 인천역 바로 옆에 있다. 인천은하역 입구. 현수막에 모노레일로 전환한다고 쓰여져 있지만 아직까지도 그 사업마저 삐걱거리고 있다. 이게 도대체 뭐하는 짓인지... 한국철도 탄생역 기념비. 인천역은 역사적으로 정말 가치가 있는 역이지만 정작 이 ..

수도권 1호선 동인천역 [2015.08]

수도권 1호선 동인천역. 경인선 급행열차의 시종착역이다. 동인천역 남쪽에는 신포까지 이어지는 지하상가가 있고, 북쪽으로는 송현시장이 있다. 이력이 조금 복잡한데 1899년 개통 당시에는 축현역이었다가 일제에 의해 1926년 상인천역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해방이후 일제의 잔재를 없애기 위해 다시 축현역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55년 최종적으로 동인천역이라는 이름으로 바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동인천역 역사 전경. 1989년에 민자역사가 들어서서 규모는 상당하지만 막상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듯이 내부엔 아무 것도 없다. 2016년후반기에 사후면세점이 들어온다고 하지만 지금까지도 별다른 소식이 없으니... 동인천역 광장 공사 현장. 역명판4번 출구. 입구 쪽에 경인선을 상징하는 최초의 증기..

수도권 1호선 구일역 [2015.08]

수도권 1호선 구일역. 부역명은 동양미래대학이며 인근에 한국 최초의 돔야구장인 고덕스카이돔이 있다. 경인선의 첫 번째 역이다. 1995년 교통시설이 열악한 구로1동 사람들을 위해 신설되었다. 현재 구일역에는 급행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 서쪽 출구 공사 현장. 구로1동 주민의 염원과 고덕 스카이돔 건설로 인해 2016년 개통되었다. 구름다리에서 찍음 구일역 역사. 한국에서 거의 볼 수가 없는 철교위에 설치된 역사이다. 건설 당시 돈이 많이 깨졌을 듯... 1번 출구 대합실 행선판. 이 역에 특이한 점이라면 상하행 플랫폼의 층수가 다르다는 것이다. 급행 플랫폼 쪽 계단. 거의 쓰지 않는 플랫폼이니 쇠사슬로 막아놓았다. 상행 플랫폼. 이곳에 종종 투신사고가 일어나는 편이라서 2014년에 설치되었다. 상행 역..

수도권 1호선 당정역 [2016.03]

수도권 1호선 당정역. 2010년 개업한 역이다. 부역명은 한세대. 앞 역인 군포역으로부터 가져왔다. 당정역이 개업된 이후 승객이 점점 느는데 비해 군포역은 이용객이 점점 감소해 결국 작년에 당정역 이용객 수가 군포역을 넘어 버렸다. 역사 전경 1번 출구 2번 출구 3번 출구 3번 출구 쪽에 있는 당정근린공원. 공영주차장 근린공원 쪽에서 찍어본 당정역 역사 대합실 플랫폼. 6년 밖에 안 된 역인데 벽은 의외로 벽돌로 되어있다. 안전펜스 역명판 촬영 일자 : 2016.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