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1호선 34

경원선 소요산역 [2014.08]

경원선 소요산역. 1976년 개업. 수도권 1호선의 최북단 역이며 1호선 전철하고 통근열차 모두 탑승 할 수 있는 역이다. 그러나 전철 배차간격은 약 30분 정도로 긴 편. 주로 소요산 등산객들이 이용하며 이용객 중에서 65세 이상 노인들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역이다. 역사 전경. 전철 개통 이전에는 구 창원역과 같은 팔각지붕형 역사였지만. 전철 개통으로 인해 팔각지붕 역사는 사라지고야 말았다. 대합실 규모로는 전철 개통 이후를 대비해 신축을 안할수 없지만 그래도 막상 사라지니 아쉽다. 폴사인 대합실. 공휴일이라 등산이나 관광으로 이곳을 찾아온 사람들로 북적인다. 특히 어르신 분들로. 1호선 플랫폼. 2선 2면이지만 단선 구간이라 상하행이 아닌 열차로 타는 곳이 나누어 진다. 전철 개통 이전 시절의 소..

수도권 스크린도어의 시초, 서울 1호선, 5호선 신길역

서울 1호선, 5호선의 환승역 신길역. 5호선 역사는 1996년에 개통됬으며 1호선은 그 1년 후에 개통되었다. 신길역 1번 출구 역사 앞 아이들이 신길역을 아릅답게 꾸며두었다. 2번 출구 1호선 대합실 3번 출구 측 앨리베이터 3번 출구 3번 출구 폴사인. 어휴 저 쓰레기 더미들... 5호선 대합실 5호선 플랫폼. 1,5호선 모두 곡선 승강장이다. 5호선 역명판 환승통로. 길이가 260m 정도로 길어 막장환승에 속한다. 1호선 플랫폼. 이 역은 수도권 전철 최초의 스크린도어 설치역으로 2004년 설치되었다. 처음에는 강변역처럼 난간형 스크린도어었지만 현재는 이렇게 반밀폐형으로 바뀌었다. 워낙 처음에 설치된 지라 통상적인 스크린도어 모습과 다르다. 저런 형태의 스크린도어는 신길역이 유일하다. 1호선 역명..

수도권 1호선 대방역

수도권 1호선 대방역. 1974년 1호선 개통과 동시에 개업한 역이다. 차후 개통될 신림선의 환승역이기도 하다. 이름은 대방역이지만 1~5번 출구만 대방동에 있을 뿐 역사와 6번 출구는 신길동에 있다. (개통 당시는 전체가 대방동이었으나 개업 1년후 구 분할로 행정구역이 제각기가 되었다.) 대방역 1번 출구 내부 역명판 대방역 이정표 5번 출구 5번 출구 위 폴사인. 서울메트로에서는 오래됬다는 이유로 슬슬 철거해서 보기가 드문 물건이지만 등잔 밑이 어둡다고 코레일 역사에서 볼 줄은 상상도 못했다.. 더불어 5번 출구에서 역사를 잘 보면 구형 CI 역명판도 보인다. 6번 출구. 유일한 북쪽 방향 출구이다. 대합실 1번 플랫폼 1,2번은 급행 3,4번은 완행 플랫폼이다. 행선판에 남아있는 용산발 광명행 전철..

수도권 1호선 신창(순천향대)역 [2014.05]

수도권 1호선의 종착역인 장항선 신창역. 부역명은 순천향대, 한국폴리텍IV대. 수도권 전철 역중 최남단 역으로 다음 역인 도고온천부터는 비전철화 구간이다. 이 역도 배방역처럼 2004년에 여객취급을 중지했다가 1호선과 누리로 종착역으로 다시 부활했다. 역사 전경 게이트 문제로 전철 출입구와 누리로 출입구가 따로 존재한다. 2번 플랫폼. 누리로는 이 곳에 정차한다. 3번 플랫폼. 이 곳은 1호선 전철이 정차. 역명판 촬영 일자 : 2014.05.06작성 일자 : 2016.05.06

수도권 1호선 배방역 [2014.05]

장항선 배방역. 원래 이곳 남동쪽 750m정도 되는 지점에 완행열차만 정차하는 모산역이 있었다가 2007년 이곳으로 이설과 동시에 배방역으로 개명했다가 2009년 1호선 신창 연장과 동시에 여객취급을 재개했다. 지역민들 사이에 이 역과 아산역 사이 탕정역을 신설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다. 역사 전경 역사 앞 정원 역사 앞 전경. 역세권이라 땅값이 엄청 올라서 그런지 아파트 단지는 바로는 없고 700m 아래쪽에 밀집되있다. 정작 바로 앞에는 아무런 건물도 없다... 배방역 1번 출구 2번 출구 2번 출구에는 환승주차장이 있다. 대합실 스토리웨이 자판기 숍 뭐하는 곳인지 들어가 봤더니 정말 직원 대신 자판기와 의자만 있을 뿐이다. 상행 플랫폼 상행 역명판 하행 플랫폼 하행 역명판 촬영 일자 : 2014.05..

수도권 1호선 쌍용역

장항선 봉명역. 쌍용역과 같이 전철 전용 역으로 2008년 12월에 개업했다. 태백선에도 한자 표기까지 같은 쌍용역이 있다. 단지 차이점이라면 이곳은 부역명이 있고 거의 대부분 쌍용역이라 표기하지만 태백선은 쌍용, 쌍룡 두 개를 합용해서 사용한다는 것. 역사 전경 1번 출구 서측에서 본 역사 전경 폴싸인 2번 출구. 부역명인 나사렛대학교는 이 곳으로 나가야 한다. 입구하고 200m정도 밖에 안될 정도로 정말 가깝다. 대합실 상행 플랫폼 상행 역명판. 달대식 역명판에 KTX 환승 표시도 해두었다. 하행 플랫폼 하행 역명판 촬영 일자 : 2014.05.06작성 일자 : 2016.05.03

수도권 1호선 봉명역

장항선 봉명역. 쌍용역과 같이 전철 전용 역으로 2008년 12월에 개업했다. 봉명역 전경 폴사인 1번 출구 2번 출구쪽 역사 전경 2번 출구. 이 출구로 내려서 약 220m정도 걸으면 부역명인 순천향대병원이 있다. 역사 내부. 최신식 역이지만 위탁대매소라서 직원은 없다. 안그래도 직원도 안보이는데 사람도 없어 굉장히 조용했다. 대합실 상행 플랫폼 상행 역명판 하행 플랫폼 하행 역명판 촬영 일자 : 2014.05.06작성 일자 : 2016.05.02

수도권 1호선 두정역

경부선 두정역. 1979년 신호장으로 개시하다가 2005년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천안으로 연장되면서 전동차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두정역은 천안역과 경부선 이외에 천안직결선과도 연결되어 있는데 이 노선은 경부선 경유 장항선 열차가 사용한다. 두정역 역사 전경 두정역은 특이하게 출구가 고가도로 위에 위치해있으나 인근 아파트 주민들을 위해 출구와 고가 아래를 연결하는 도로도 만들어 주었다. 대합실 역사 내부 조형물 내부에 입점해 있는 스토리웨이 급행열차 노량진역 단축 안내문 상행 역명판 상행 역명판 하행 플랫폼 하행 역명판 촬영 일자 : 2014.05.06작성 일자 : 2016.05.01

수도권 1호선 직산역

경부선 직산역. 충남테크노파크라는 부역명을 가지고 있었다가 2014-5년도쯤 사라졌다. 직산읍에 공장이 몇 군데 위치해서 화물취급도 한다. 2005년까지는 장항선 완행열차가 상하행 2편 정차하다가 수도권 전철 1호선 천안 연장이후로 무궁화호 대신 전철이 정차하기 시작했다. 직산역 역사 전경 역사 앞 육교. 시내버스를 타려면 300m정도 되는 이 육교를 건너야 한다. (천안 시내버스 96, 104번이 역 바로 앞에 내려주지만 운행 횟수가 합쳐도 5회 미만). 게다가 읍내도 역에서 직선거리도 1km 정도 되서 일평균 승차량은 약 천면 정도로 적은 편이다. 그래서 그런지 광장에 유료 주차장도 만들었다. 폴사인 1번 출구 2번 출구. 이 곳도 성환역과 마찬가지로 주변은 논두렁뿐이다. 성환 급행 시간표. 성환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