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원선 10

경원선 망월사역 [2014.08]

경원선 망월사역. 1966년 개업했으며 부역명은 신한대 제1캠퍼스. 참고로 신한대 제2캠퍼스는 동두천중앙역의 부역명이다. 신한대학교가 아닌 캠퍼스로 부역명을 붙인 이유는 이 때문. 이름이 망월사역이지만 정작 망월사는 도봉산 한가운데에 있어 거리는 2km가 족히 넘는다. 망월사역 3번 출구. 1,2번 출구인 북부역사는 1999년에 개통됬다. 2012년도에 리모델링했다. 대합실 상행 플랫폼 상행 역명판 망월사에 월자는 어디로 간거지... 하행 플랫폼 하행 역명판 촬영 일자 : 2014.08.15

경원선 양주역 [2014.08]

경원선 양주역. 양주시 전철역 중 최남단 역이다. 다음역인 녹양역부터는 의정부시로 들어서게 된다. 1948년 양주군 안(內)에 있다는 뜻에서 주내역으로 개업하게 되고 2006년 양주역으로 이름이 바뀜과 동시에 전철 전용역이 되었다. 양주역 1번 출구. 이 곳도 덕계역과 마찬가지로 주변은 허허벌판이지만 양주시 역중 승하차량이 가장 많은 역이다. 폴사인 양주역 2번 출구 양주 검문소 대합실. 양주시 최대역인 만큼 양주시 관광안내소도 있다. 365도서 반납함 상행 플랫폼. 2면 4선식 플랫폼이다. 그리고 서울메트로 전동차는 이 역까지만 갈 수 있다. 그 이북으로는 모두 코레일 전동차가 수송. 촬영 일자 : 2014.08.15

경원선 덕계역 [2014.08]

경원선 덕계역. 원래 계획에 없었던 역이지만 1호선 동두천 연장이 된 후 1년 뒤인 2007년 3월에 착공하여 당해 12월에 개업됬다. 경동대학교라는 부역명이 있었지만 2015년에 삭제되었다. 덕계역 이정표 덕계역 1번 출구 역 주위는 허허벌판이다. 아파트가 주변가 드문드문 박혀 있긴 하지만 주거단지는 서쪽 1km에 위치 해있다. 폴사인 덕계역 2번 출구. 1번 출구가 더 넓지만 시내버스는 이 쪽에서만 다닌다. 부역명이었던 경동대학교는 이 곳에서 73-3번 버스를 타면 갈 수 있다. 대합실. 조명을 그냥 꺼놔서 굉장히 어둡다. 코레일마트. 자판기만 있는 무인 편의점인 것 같은데 어두운걸 보니 운영을 하지 않나 보다. 상행 플랫폼 안내데스크. 안내데스크이긴 하지만 왠지 안내데스크를 보면서 사람이 이 곳에 ..

경원선 동두천역 [2014.08]

경원선 동두천역. 수도권 1호선, 통근열차, DMZ-TRAIN이 모두 정차하는 유일한 역이다. 1912년 영업을 시작하였고 1945년 광복 직후 38번으로 인해 경원선의 남한 측 최북단역이 된 이력이 있다. 한국 전쟁 이후로 영토가 확장되어 더이상 최북단 역은 아니지만. 이후 1984년에 역명이 동안역으로 바뀌었지만 다시 2006년에 동두천역으로 바뀌었다. 그 당시의 동두천역이었던 역은 동두천중앙역으로 변경. 동두천역 1번 출구. 대합실. 편의점과 통근열차 승차권 판매소가 있다. 화장지 자동판매기. 화장지의 가격은 단돈 300원. DMZ-TRAIN 운행 시간표 및 타는 곳 안내문. 소요산역과 마찬가지로 통근열차 타는 곳과 전철역 타는 곳이 구분되어 있다. 전철 플랫폼. 전철은 4면 플랫폼을, 통근열차는 ..

경원선 소요산역 [2014.08]

경원선 소요산역. 1976년 개업. 수도권 1호선의 최북단 역이며 1호선 전철하고 통근열차 모두 탑승 할 수 있는 역이다. 그러나 전철 배차간격은 약 30분 정도로 긴 편. 주로 소요산 등산객들이 이용하며 이용객 중에서 65세 이상 노인들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역이다. 역사 전경. 전철 개통 이전에는 구 창원역과 같은 팔각지붕형 역사였지만. 전철 개통으로 인해 팔각지붕 역사는 사라지고야 말았다. 대합실 규모로는 전철 개통 이후를 대비해 신축을 안할수 없지만 그래도 막상 사라지니 아쉽다. 폴사인 대합실. 공휴일이라 등산이나 관광으로 이곳을 찾아온 사람들로 북적인다. 특히 어르신 분들로. 1호선 플랫폼. 2선 2면이지만 단선 구간이라 상하행이 아닌 열차로 타는 곳이 나누어 진다. 전철 개통 이전 시절의 소..

경원선 한탄강역 [2014.08]

경원선 한탄강역. 1975년에 개업했으며 1977년 을종대매소로 지정됬다가 임시승강장이 되었다. 통근열차가 다니는 역중에서 이용객수는 가장 꼴찌이지만 주변에 전곡 선사 박물관이나 한탄강캠핑장등이 있어 DMZ-Train도 정차한다. 이용객수가 현저히 적이서 일지는 몰라도 2019년에 연천까지 1호선이 연장될때 폐역이 될 역이다. 역사 입구. 돌어왔다가 나가는 느낌이 간이역에 온 게 아니라 어느 주차장에 온거 같았다.. 연천군 관광안내도. 승객은 적어도 근처 관광지는 꽤 있으니까 설치했나보다. 플랫폼. 백마고지역과 같은 경원선의 유이한 1면 1선식 플랫폼이다. 원래 슬레이트 지붕와 화분들이 있었다고 하는데 어느새 사라졌다. 역명판. 길다란 역명판도 있었지만 그것도 실종. 경원선에서 같은 무배치간이역 신세인 ..

경원선 신탄리역 [2014.08]

경원선 신탄리역. 백마고지역이 개통하기 전까지 경원선의 종착역이자 대한민국 최북단 역이었다. (제진역 제외) 최북단역을 빼앗겼지만 DMZ-TRAIN은 계속 이 역에 정차한다. 1942년 신호장으로 개업되어 몇 년 동안은 평범한 신호장었지만 광복이 되고 북한땅이 되었다가 6.25 전쟁 이후 국군이 다시 이곳을 수복하였고 1955년에 일반역으로 승격이 되었다. 역사 전경 참고로 이름과는 다르게 신탄리역은 신탄리가 아닌 대성리에 위치해있다. 애초에 연천군에는 신탄리가 없으며 진짜 신탄리는 강원도 고성에 있다. 그 곳은 민간인 통제구역이라서 방문 자체가 불가능하지만. 역사 앞 조그만한 쉼터 신탄리역 대합실. 이곳에 승차권 자동판매기 2대를 들여왔지만 어느새 철거해버렸다. 집표함. 요즘엔 그냥 간이역에서도 잘 안..

경원선 백마고지역 [2014.08]

경원선 백마고지역. 현재 열차가 운행중인 경원선 역 중에서 유일하게 강원도에 있는 역이면서 대한민국 최북단 역이다 (현재 열차가 다니지 않는 동해북부선 제진역을 제외). 현재로썬 종착역이지만 몇년 후에 월정리역까지 연장 될 예정이다. 백마고지역 역사 폴사인 주변은 역세권이라고는 찾아 볼 수가 없는 허허벌판이다. 그저 안보관광로 간간히 운행되는 역일뿐. 철원군 농특산물 판매장 백마 조각상. 측명세는 백마고지 전투와 역명에 유래에 대해 적혀있다. 원래는 무명의 야산이었지만 6.25 전쟁때 이 곳에 치열한 고지 쟁탈전이 치뤄지면서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철원관광안내소. 이곳에서 백마고지역 철원군 안보 관광버스가 총 2회 다닌다. (11시 10분, 14시 10분) 대합실. 역사에 비해 대합실은 꽤 좁은 편이다...

경기 북부 최대의 역, 경원선 의정부역

경원선 의정부역. 경원선 역중 전철 승하차량 2위를 차지 할만큼 경기 북부의 대표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때는 서울교외선 통근열차가 다녔지만 지금은 운행하고 있지는 않다. 한편 KTX 정차와 GTX C선가 들어온다는 계획이 있다. 의정부역 전경. 2011년부터 민자역사가 들어서서 규모도 어마어마해졌다. 민자역사 신세계 백화점 폴사인 2번 출구 3번 출구 의정부역 정면에서 찍어본 의정부시 풍경 8번 출구. 대합실 상행 플랫폼. 현재는 1,3번 홈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됬다. 오른쪽 플랫폼은 의정부역 3개의 플랫폼 중 유일한 저상홈으로 통근열차 단축 이후로 사용하지 않다가 현재 평화생명관광열차가 의정부역에 정차함에 따라 저상홈도 쓰이기 시작한다. 상행 역명판 하행 플랫폼 하행 플랫폼 촬영 일자 : 2014.01..

경원선 광운대역

광운대역. 역명은 인근에 있는 광운대학교를 따왔다. 1935년 개통 초기에는 연못이 벼루와 비슷해서 불려진 연촌(硯村)역이었다가 1965년 소속구 이름을 따서 성북역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성북역이 성북구가 아닌 노원구 소속이 됨에 따라 2013년 주민투표를 통해 광운대역으로 다시 이름이 바뀌게 되었다. 광운대역 1번 출구 2번 출구. 광운대역은 동쪽에 승무사업소가 있어 출구가 전부 서쪽에만 있다. 2번 출구 폴사인 3번 출구 그래도 이름이 완전히는 개정되지 않았나보다. 진접선 준공 확정 축하 현수막. 역시 진접선은 의의는 진접읍의 교통불편 해소보다는 창동차량기지 이전에 두었나 보다... 코레일 자회사의 카쉐어링 서비스 YOUCAR 맨홀 뚜껑에 남아있는 철도청 로고의 흔적 대합실 1번 플랫폼. 상행 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