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04

수도권 1호선 당정역 [2016.03]

수도권 1호선 당정역. 2010년 개업한 역이다. 부역명은 한세대. 앞 역인 군포역으로부터 가져왔다. 당정역이 개업된 이후 승객이 점점 느는데 비해 군포역은 이용객이 점점 감소해 결국 작년에 당정역 이용객 수가 군포역을 넘어 버렸다. 역사 전경 1번 출구 2번 출구 3번 출구 3번 출구 쪽에 있는 당정근린공원. 공영주차장 근린공원 쪽에서 찍어본 당정역 역사 대합실 플랫폼. 6년 밖에 안 된 역인데 벽은 의외로 벽돌로 되어있다. 안전펜스 역명판 촬영 일자 : 2016.03.01

수도권 1호선 군포역 [2015.08]

군포역. 1905년 군포장역으로 개업하였다가 1937년에 군포역으로 변경, 1974년 전철이 다니기 시작하였다. 현재는 수도권 1호선 완행과 서울-천안 급행열차가 정차한다. 한세대라는 부역명이 있었으나 당정역이 개업한 이후 한세대가 군포역보다 당정역이 더 가까워서 부역명은 폐기되었다. 역사 전경. 출구 계단과 대합실, 그리고 플랫폼만고는 별게 없는 기본적인 것만 구성된 역이다. 1번 출구. 화장실 군포 역전시장 지하철 출구에서나 볼 수 있는 역명판. 서울메트로은 저걸 없애는 추세인데 군포역은 여전히, 더군다나 역 광장에다 설치해 두었다. 시계탑 2번 출구. 구도심 지역인 1번 출구와 다르게 2번 출구 근처는 군포공단이다. 자전거 거치대 승강장 끝쪽으로 보면 2000년 이전에 여객열차를 세울 때 썼을 저상..

수인선 송도역 [2015.08]

수인선 송도역. 1937년 협궤 철도로 개업되었으며 1994년 수인선 폐지로 인해 폐역되었으나 2012년 18년 만에 복선전철로 재개업되었다. 참고로 송도신도시하고는 관련이 없다. 2020년대에 이 역에서 KTX가 정차할 예정이며 더불어 복합환승센터까지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역사 전경 송도역 폴사인 대합실 열차 도착 안내 LED와 행선판. 수인선이 인천으로 연장된 지금 송도행은 볼 수가 없는 행선지가 되어버렸다. 역시 코레일의 땜질 능력은 경악을 금치 못한다... 플랫폼 안내 데스크. 저기에 사람이 있는걸 본 적이 없어서 신설 역에는 없는 줄 알았는데 지은지 몇 년 안되는 역에도 이런게 있을 줄이야.. 수인선 2구간 공사 사무소. 물론 공사가 끝난 지금은 철거되었을 것이다. 역명판 촬영 일자 : 2015..

호남선 황등역 [2015.08]

호남선 황등역. 2007년 여객 취급을 중지하였다. 그러나 2012년부터 호남고속선 건설공사로 인해 황등역에 조차장과 검수고 기능을 받아 무배치간이역에서 보통역으로 승격되어 제2의 인생을 살아가고 있다. 시내버스를 타고 황등역 앞 정류장에 도착. 황등역 역사. 내부는 많이 바뀐 반면에 역사는 출입문이 사라진 것 말고는 변함이 없다. 역사 안 역목 황등역 내부. 차가 주차되어 있으니 안에 누군가 근무하고 있다. 검수고 인근 육교로 올라가서 황등역 내부를 자세로 보기로 한다. 플랫폼은 온데간데 다 사라지고 굉장한 규모의 선로와 화물열차만 남아있다. 절대로 이 역에서 기차를 세우지 않으리라는 코레일의 의지가 살짝 엿보인다. 촬영 일자 : 2015.08.07

호남선 함열역 [2015.08]

호남선 함열역. 1912년 개업하였으며 현재 익산시에서 익산역과 함께 열차가 서는 유이한 역이다. 역사 전경. 이래뵈도 지은지 40년이 넘었다. 이정표 역사 앞에 설치된 라이온스 클럽 비석. 답사할때 가끔 보이는 이름이라 무슨 클럽인가 궁금했는데 알고보니 세계적인 봉사 활동 단체였다고 한다. 처음에 야구때문에 삼성과 관련된 단체라고 생각했는데... 2014년 광장에 새로 정원을 조성했다고 한다. 덕분에 역사가 더욱 깔끔해 보인다. 정원 조성하는 김에 캐노피 설치에다가 벽화까지 그린 것은 덤. 대합실. 다른 간이역과 마찬가지로 안전문제 때문에 열차가 오는 시간이 아니면 플랫폼 출입문을 잠가 버린다. 더군다나 최근에 이 역에서 승객들이 열차에 치여 사망한 사고가 여러 번 발생해서 역무원은 안전에 대해 특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