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01

태백선, 함백선 조동역 [2024.02]

태백선과 함백선의 분기역 조동역. 함백역 인근이 구배가 가파르기 때문에 1976년 기존선 이외에 루프식 터널을 만들었는데 이때 신호장으로 조동역이 개업했다. 이로 인해 개업이래 신호장으로써 운영되었다. 2020년 집중호우로 인해 조동역이 큰 피해를 입기도 하였다. 함백역에서 눈에 덮인 산길 따라 걸어서 30분 산등성이에 조동역이 보인다. 조동역 역사 역시 신호장이라 그런가 주변에는 집 한 채도 보이지 않는다.. 시설반 건물 촬영 일자 : 2024.02.22작성 일자 : 2025.04.29

정선선, 태백선 민둥산역 [2024.02]

정선선, 태백선의 환승역인 민둥산역. 1966년 증산역이라는 이름으로 개업을 하였고 2009년 현재의 역명으로 바꾸었다. 민둥산역 역사. 역 이름과 다르게 나무가 산마다 빽빽이 늘어서있다. 역전에 있는 정체를 알수 없는 대포 역사 내부 정선군 미니어쳐. 오른쪽의 갈색빛이 도는 산이 민둥산인데 저렇게 7부 능선을 넘으면 나무 대신 억새가 널려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플랫폼 역명판 촬영 일자 : 2024.02.22작성 일자 : 2025.04.28

태백선 고한역 [2024.02]

태백선 고한역 1966년 개업. 2001년 현 역사 신축 준공. 여객열차가 서는 역 중 가장 높은 역이다. 하이원 리조트와 가장 가까운 역이라 셔틀버스도 자주 다니는 편이다. 고한역 역사야생화마을 추리극장 홍보 벽화. 직접 가보지는 못했지만 방탈출게임장 이라고 한다.역사 내부플랫폼옆에 방치해둔 새마을호 객차. 지금은 야생화마을 추리극장 홍보용으로 랩핑을 한 듯하다. 역명판 촬영 일자 : 2024.02.22작성 일자 : 2025.04.24

경북선 용궁역 [2023.09]

경북선 용궁역. 1928년 개업. 1944년 일제의 철로 철거로 인해 폐역 되었지만 1966년 재개통되었다. 이름이 이름인지라 예천군의 관광명소가 되었다. 용궁역 역사. 분홍색 페인트로 칠해져 있어 경북선 역 중에서 가장 예뻐보인다. 아쉽지만 역사 내부는 당시에 인테리어 공사 중이라서 들어가 볼 수가 없었다. 한때는 역내에서 토끼간빵을 팔았다고도 한다. 벽화. 용궁역답게 별주부전을 모티브로 만들었다. 12해신상. 동상이 12개 있어서 12지신인줄 알았는데 용궁인것을 감안해 12지신이 아니라 청새치, 복어 등의 12'해'신 동상으로 구성되었다. 12지신 이외에 12해신이 따로 있다는 걸 처음 알게 되었다.. 공원. 공원에 이런 조형물과 체험존, 카페 등이 있다. 필자가 다녀올 당시에는 공사 중이었으나 현재..

경북선 함창역 [2023.09]

경북선 함창역. 1924년 개업. 2030년 경북선이 개량되면 폐역될 예정이다. 함창역 역사. 역전의 의문의 구조물. 처음엔 군사시설인줄 알았으나 나중에 찾아보니 누에 저장용 냉장고를 형상화한 미술 작품이라고 한다. 함창이라는 곳이 원래 누에로 유명하다고. 역사 내부. 지금은 직원없이 텅 비어있으나 2015년 함창 아트로드라는 예술 관련 이벤트를 했을 당시에는 내부도 예술 작품으로 가득 찼다고 한다. 누에고치 모양 조형물. 아까 전의 조형물도 그렇지만 아트로드 행사때 설치하고 그대로 둔 걸로 보인다. 플랫폼 역명판   촬영 일자 : 2023.09.08

경북선 백원역 [2023.09]

경북선 백원역. 1924년 개업. 근처에 은척탄광이 있어서 과거엔 화물도 사람도 자주 오가던 곳이었으나 2005년 은척탄광이 폐광된 이후 화물 취급이 중지 되었고, 2008년 12월 여객 취급 마저 중지되었다. 백원역 역사. 역명판. 여객 취급 중지도 15년 이상 지나서 그런지 역명판도 벗겨졌다. 한참 전에 여객취급이 중지되었지만 역전에 행사가 있었다. 하지만 행사도 5년 전을 마지막으로 중지된 모양이다. 역사 내부 역사 뒷부분  촬영 일자 : 2023.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