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155

인천 1호선 지식정보단지역

인천 1호선 지식정보단지역. 부역명은 인천가톨릭대학교. 영어로 쓰기에는 역명이 너무 길어서 (Bio Information Technology Zoned으로 약 30자) BIT Zone으로 줄여서 표기한다. 단 안내방송 할 때는 본 이름 그대로 방송한다. 이 역과 테크노파크 사이에 상당한 각도의 급곡선이 존재한다. 지식정보단지역 2번 출구. 특이하게 지식정보단지역에는 1번 출구가 없어 2번 부터 시작한다. 2017년에 이 부근에 패션복합센터가 들어설 예정이다. 2번 출구 내부 역명판. 의문의 돔 건축물. 이 것의 정체는 차후에 서술. 2번 출구 앞 정체불명의 건축물. 환풍시설인가? 아니면 차후에 개통될 1번 출구? 3번 출구. 처음 봤을 때는 3번 출구가 어디있나 몰라서 당황할 수도 있겠지만 3번 출구는 ..

인천 1호선 캠퍼스타운역

인천 1호선 캠퍼스타운역. 해양경찰청입구라는 부역명을 가지고 있었으나 세월호 참사 이후 해양경찰청이 해양경비안전본부로 통합흡수당한 이후 2014년 11월 부로 부역명이 사라졌다. 뭔가 역사가 세련된 느낌이 들듯이 이 역부터 국제업무지구 역까지는 송도신도시의 역이다. 이름대로 역 동쪽에 많은 대학교 캠퍼스가 조성되있다. 캠퍼스타운역 1번 출구. 송도신도시에 들어서면서 역사와 폴사인 같은 시설들이 싹 바뀌었다. 역사 내부 역명판. 송도 롯데캐슬아파트 공사 현장. 지금은 완공되어 입주까지 시작됬다. 4번 출구 폴사인 4번 출구 2번 출구. 여러 대학교 캠퍼스와 연결되있어서 규모가 크다. 개통 당시에 아직 사명이 인천지하철공사라서 그런지 지하철이라는 이름이 남아있다. 연세대캠퍼스 이정표 2번 출구 내부. 2번 ..

인천 1호선 동춘역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동춘역. 부역명은 스퀘어원이다. 동춘역의 동쪽은 연수지구 아파트 단지이며 서쪽은 상업단지와 남동산업단지로 구성됬다. 1번 출구 폴사인. 통합 전 사명인 인천메트로가 통합 후 2년 반 정도 지남에도 불구하고 버젓히 폴사인에 남아있었다. 1번 출구. 1번 출구 바로 앞에 이마트가 있으며 스퀘어몰과 홈플러스도 100m 정도 걸으면 있다. 부역명인 스퀘어원 쇼핑몰. 2번 출구 폴사인 2번 출구 6번 출구 출구 내부 역명판 대합실 교통카드 충전기. 서울에서 봤던 충전기와는 모양이 다르다. 대합실 내부의 벽화 상행 플랫폼 상행 역명판 하행 플랫폼 하행 역명판 촬영 일자 : 2014.07.30작성 일자 : 2016.06.

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역

공항철도의 실질적 시종착역인 인천국제공항역. 일반열차와 직통열차 모두 정차한다. (가끔씩 몇몇 열차가 용유역까지 가긴 가지만 논외.) 2014년 KTX 개통으로 각 지방에서 기차를 타고 환승 없이 편하게 인천공항까지 올 수 있게 됬다. 차후에 제2여객터미널이 개업될 즈음 제2여객터미널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인천국제공항역 폴사인 1번 출구. 주차장 밖에 없어서 밖에다 차를 주차하지 않는 이상 올 곳은 아니다. 애초에 여행객들은 대부분 공항과 연결된 통로를 건너서 와서 출구는 사실상 의미가 없는 존재이다... 교통센터 내부. 참고로 일반열차 타는 곳과 직통열차 타는 곳이 정반대편에 위치해 있다. 검암역과 마찬가지로 KTX 개찰구는 공항철도하고 별도로 마련되있다. 열차 발차 및 도착 안내 LCD. 아오 저 성..

영종도의 황무지 안, 공항철도 공항화물청사역

공항철도 공항화물청사역. 인천공항으로 들어서기전의 마지막 역이다. 주변에 사실상 황무지라 이용객 수는 공항철도 역 중에서 꼴찌. 심지어 역명인 화물청사도 북쪽으로 2km 정도 걸어가야 있다. 역세권 개발 사업도 전무라서 승객수는 천지개벽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이대로일듯 싶다. 공항화물청사역 1번 출구 1번 출구 폴사인 역사 전경. 허허벌판이다... 외지인이 심한 철덕이 아닌 이상 절대로 올 일이 없을 것이다. 2번 출구 이 곳에 인천공항으로 가는 무료 순환버스가 있다. 시간도 그렇게 많이 걸리지 않으니 이곳에서 인천공항까지 갈 일이 있다면 (사실 올 일도 거의 없을 것이지만) 괜히 돈들여서 공항철도를 타지 말고 셔틀버스를 타자. 순환버스 시간표 2번 출구 폴사인 사람이 적은 역이지만 출구 계단은 자연 채..

영종하늘도시, 공항철도 운서역

공항철도 운서역. 내륙에서 공항철도를 타고 영종도로 갈때 가장 먼저 보이는 역이었던 적이 있었다. (현재는 영종역) 주로 영종신도시에 거주하는 주민이 이용하는 역이다. 한때 역간거리가 18.4km로 용인경전철 전체 거리 정도나 됬었으나 중간 역 개통(2014년 청라국제도시역, 2016년 영종역)으로 역간 거리가 줄어들었으나 영종역과 청라역 사이는 10km 정도로 여전히 긴편. 역사 전경. 역사 규모가 굉장히 크다... 원래 출구는 이곳 밖에 없었으나 2015년 뒷편에 2번 출구를 개통했다. 다만 크기는 이곳에 비해 굉장히 작은 편. 폴사인 역전 광장. 모양이 왠지 멸망한 나라의 유적지 같다... 운서역 대합실 직통열차 체험학습 홍보문. 상행 플랫폼 상행 역명판 하행 플랫폼 하행 역명판 촬영 일자 : 20..

인천 서구의 중심역, 공항철도 검암역

공항철도 검암역. 상행열차의 절반이 이 곳에서 종착한다. 한 때 인천 서구의 유일한 철도역이었던 적이 있다. 덕분에 서구민의 통근 수요로 공항철도 역 중 이용객수가 압도적인 1위이다. 2006년 개통 전까지만해도 경서역이라는 가칭이 붙었으나 개통 당시 검암이러는 역명이 확정되었다. 2014년부터 검암역에 KTX도 상하행 각 11편씩 정차하기 시작했다. 역사 전경. 출구는 이 곳이 유일하다. 아무래도 반대편은 강가 뿐이니... 2호선이 개통되면 동쪽으로 몇 개 더 생기겠지만. 폴사인 코레일공항철도 본사 건설중인 인천 2호선 검암역 역사. 위치를 보니 막장환승이 될듯 싶다...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개최기념 캐릭터 동상. 대합실 자동승차권 판매기. KTX 정차 이후 따로 설치했나보다. 이렇게 KTX 통..

서울 5호선 오목교역

서울 5호선 오목교역. 부역명은 목동운동장앞. 주변에 고급아파트와 현대백화점이 있어 양천구의 도시철도 역중 이용객수가 가장 많다. 오목교역 2번 출구 2번 출구는 다른 출구와 달리 동떨어져있어 연결통로가 따로 존재한다. 대신 현대백화점과 가장 가까운 출구라 그런지 내부는 꽤 잘 꾸며놓은 편이다. 5번 출구. 당시에는 이렇게 초라했지만 역사 앞에 푸르지오 아파트가 완공되면서 폴사인도 교체되고 덮개도 설치되고 완전히 환골탈태했다. 6번 출구 6번 출구 내부 역명판 6번 출구 폴사인 오목교역 사거리 전경 오목교역 지하상가 대합실 상행 플랫폼 당시 에스컬레이터 공사중이었다. 상행 역명판 역명판의 자투리를 이용해서 만든 A4 역명판. 하행 플랫폼 기둥 주(柱). 의는 어디간 것인고... 하행 역명판 촬영 일자 :..

서울 5호선 목동역

서울 5호선 목동역. 목동(木洞)이라는 지명은 2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이 지역에 나무(木)가 많아서라는 것과 나머지 하나는 목동들이 모여사는 곳이라서 붙여지다가 나중에 한자 표기가 바꿨다는 설이 있다. 지금은 이름과 다르게 70년대에 주택단지를 건설한 이후 아파트촌이 되어버렸다. 목동종합운동장으로 가려면 이 역이 아니라 다음역인 오목교역에서 내려야 한다. 목동역 1번 출구 7번 출구 8번 출구 폴사인 8번 출구. 지금의 목동은 나무숲이 아니라 거대한 아파트숲이 되어버렸다. 내부 역명판 대합실 상행 플랫폼 하행 역명판 하행 플랫폼 하행 역명판 촬영 일자 : 2014.05.18작성 일자 : 2016.05.15

수도권 스크린도어의 시초, 서울 1호선, 5호선 신길역

서울 1호선, 5호선의 환승역 신길역. 5호선 역사는 1996년에 개통됬으며 1호선은 그 1년 후에 개통되었다. 신길역 1번 출구 역사 앞 아이들이 신길역을 아릅답게 꾸며두었다. 2번 출구 1호선 대합실 3번 출구 측 앨리베이터 3번 출구 3번 출구 폴사인. 어휴 저 쓰레기 더미들... 5호선 대합실 5호선 플랫폼. 1,5호선 모두 곡선 승강장이다. 5호선 역명판 환승통로. 길이가 260m 정도로 길어 막장환승에 속한다. 1호선 플랫폼. 이 역은 수도권 전철 최초의 스크린도어 설치역으로 2004년 설치되었다. 처음에는 강변역처럼 난간형 스크린도어었지만 현재는 이렇게 반밀폐형으로 바뀌었다. 워낙 처음에 설치된 지라 통상적인 스크린도어 모습과 다르다. 저런 형태의 스크린도어는 신길역이 유일하다. 1호선 역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