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04

영동선 망상해수욕장역 [2022.09]

영동선 망상해수욕장역. 2000년 임시승강장으로 개업하였다. 이름에 해수욕장이 있듯이 역에서 바로 내리면 해수욕장이 있는지라 열차도 여름철에만 정차를 했다. 이후 2008년 여름철에도 열차를 통과를 하다 2014년 역사 개보수공사 이후 코로나19 사태 이전까지 다시 여름철 한정으로 기차가 서기 시작했다. 촬영 일자 : 2022.09.21

경전선 낙동강역 [2022.11]

낙동강역. 경전선과 경전선의 지선인 미전선의 분기역이다. 1906년 개업, 1944년 미전선이 개통되면서 분기역이 되었지만 2009년 무인역이 되었고 2010년 여객취급이 중지되었다. 현재는 공원이 되었다. 공원 앞 주차장. 도로에 차가 자주 다니므로 조심해서 건너자. 역사는 2010년에 철거되어 역사대신 역사가 있었다는 표식만 남아있다. 공원 내부. 솔직히 공원이라기보다는 그냥 공터 같다. 플랫폼도 이미 철거된지 오래. 촬영 일자 : 2022.11.05

전라선 압록역 [2022.10]

전라선 압록역. 압록강하고 한자까지 같으나 연관성은 없다. 1936년 전라선 개통과 동시에 개업하였닥 2008년 12월 여객취급이 중지되었다. 압록역 역사. 1997년 전라선 개량 당시 준공되어 꽤 큰 편이지만 11년밖에 쓰지 못했다. 이 밖에도 여순사건과 6.25 전쟁으로 인해 역사가 두번이나 소실된 적 있는 비운의 역이다. 지금은 전혀 쓰이지 않은채 방치된 대합실. 그 뒤에는 인기 드라마 모래시계에서 등장한 소나무가 있다. 뒤쪽에서 촬영한 역사 플랫폼. 역사하고 조금 떨어져 있다. 정동진역과 마찬가지로 압록역도 드라마 모래시계의 촬영지이나 KTX까지 서면서 승승장구하는 정동진역과 달리 기차도 지나가기만 할 뿐 사람들 사이에서 거의 잊히는 게 안쓰럽기만 하다. 촬영 일자 : 2022.10.23

전라선 금지역 [2022.10]

전라선 금지역. 1933년 전라선 개통과 같이 개업하였다. 역이름은 우리가 아는 금지하다에서 온 게 아니라 근처 지역이름인 금안과 기지에서 한글자씩 따왔다고 한다. 2007년에 여객취급 중지. 역사 미곡종합처리장. 마을은 역에서 살짝 떨어져 있다. 멀리서 찍은 플랫폼. 원래 80년 전 만해도 금지에서 광주까지 가는 전남선의 분기역이 될 예정이었다. 노반까지 완공했으나 1944년 전쟁으로 인해 갑자 스래 공사가 중지되었고 이후엔 평범한 간이역이 되었다. 예전에 사람들이 들락날락거렸을 문은 벽돌로 막아놔 정말로 출입'금지'인 상태가 되었다. 조그마한 역 광장. 반대편 농로에서 찍은 플랫폼. 촬영 일자 : 2022.10.23

12. 낙동강 자전거길 (下)

새벽 일찍 복합터미널에 도착 대전에서 대구로 이동 서대구 터미널 도착. 주말이었으면 동대구터미널에서 지하철 타고 갔겠지만 평일이라 자전거를 지하철에 못 가지고 오는 관계로 서대구 터미널에서 자전거로 서부정류장으로 이동. 7km 시내거리를 한 시간 안으로 가야 해서 살짝 빠듯할 수도 있었지만 다행히 제시간 안에 도착했다. 이제 현풍으로. 그러고보니 라이딩 덕에 온갖 대구의 버스터미널은 다 가보는 거 같다. 현풍까지 왔으니 마지막 국토종주도 이제 시작 낙동강 전경 도동서원. 대구시의 유일한 유네스코 세계 유산이라고 한다. 내부. 수업중이라 제대로는 못찍었지만 안에는 옛 서당처럼 훈장님께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었다. 평화로운 낙동강 풍경. 풍경과 별개로 길은 그다지 평화롭지는 않았다... 창녕 진입 창녕에서 ..

여행/자전거 2023.01.15

11. 섬진강 자전거길

이번에는 청사터미널에서 전주로 이동 전주고속터미널 도착 전주고속터미널에서 전주시외버스터미널로 이동. 거리는 한 블록 정도라서 매우 가깝지만 강진행 버스가 십여분 뒤에 출발해서 서둘러 이동했다. 다행히 전주행 버스도 예정시간보다 더 빨리 도착해서 넉넉하게 강진 가는 버스를 탈 수 있었다. 약 40분 만에 여유롭게 강진터미널 도착 생각보다 일찍 도착해서 편의점 대신 터미널 근처 식당에서 아침 백반을 먹었다. 반찬도 맛있는 데다 사장님께서 밥도 한 공기 공짜로 더 주셔서 정말 만족하면서 먹었다. 배도 든든하게 채웠으니 본격적으로 출발! 섬진강 자전거길의 기점, 섬진강댐 인증센터 섬진강 경치 사진 순창 진입 장군목유원지 인증센터 슬슬 단풍철이 시작된 지라 단풍을 보러 온 관광객들이 꽤 많았다. 섬진강과 영산강의..

여행/자전거 2022.12.20

10. 낙동강 자전거길 (中)

동해안 자전거길 경북구간을 다녀온 다음날. 다음 일정을 위해 일부러 대구에서 하루 묵었다. 숙소에서 7km 달려 대구북부시외버스터미널 도착. 근처에 만평역이 있어 3호선을 타고 가면 참 좋은데 대구 3호선은 주말 포함 자전거 탑승 금지라 어쩔 수 없이 자전거를 탔다. 북부터미널에서 지보행 완행 시외버스를 타고 예천군 풍양면으로 간다. 2시간 만에 풍양 정류소 도착. 7080년도 분위기가 확 느껴진다. 아침은 어제 샀던 빵과 캔커피. 빵이 단짠단짠한게 참 맛있었다. 몇 개 더 사둘걸.. 5일장이라 사람이 바글바글하다. 15분을 달려 낙동강 자전거길에 도착 그리고 바로 상주시 진입 데크 길 한달 전 라이딩했을 땐 파랬던 벼가 노랗게 익어가는 걸 보니 점점 가을이 다가왔다는 게 느껴진다. 상주자전거박물관 자전..

여행/자전거 202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