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선 소이역 [2023.01] 충북선 소이역. 1922년 보통역으로 개업. 2007년 여객취급이 중지됐다. 멀리서 촬영한 플랫폼. 여객취급 중지한지 15년이 넘는지라 역명판도 예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표지판 아쉽게도 입구는 막혀있지만 벽화가 아쉬움을 달래주고 있다. 멀리서 촬영한 소이역 역사 촬영 일자 : 2023.01.18 여객 철도/충북선 2023.10.03
충북선 목행역 [2022.05] 충북선 목행역. 1956년 개업 2010년 11월에 여객취급이 중지되었다. 목행역 역사. 1980년에 새로 준공되었다. 촬영 일자 : 2022.05.29 여객 철도/충북선 2023.03.13
충북선 동량역 [2022.05] 충북선 동량역. 이 역에서 공군기지까지 이어지는 인입선이 있다고 한다. 1959년 개업. 2008년 여객취급이 중지되었다. 역 자체가 마을하고 조금 동떨어진 곳에 있는지라 역 근처에는 사람이 거의 없다. 역사 역사 내부. 당연하지만 기차가 안 서지 10년이 지나서 내부는 텅텅 비어있다. 역 내부 촬영 일자 : 2022.05.29 여객 철도/충북선 2023.03.13
삼척선 삼척역 [2022.09] 삼척선 삼척역. 삼척역이지만 삼척 시내하고는 거리가 있는 편. 1944년 삼척선 개통과 동시에 개업. 1992년 여객수요 감소로 인해 여객취급이 중지되었다가 다시 재개되었다. 2019년 동해선 공사로 인해 삼척역까지 운행했던 바다열차가 삼척해변역으로 노선이 단축되었다. 이정표 공사 중인 신축역. 기존 역에 비해 규모가 훨씬 더 커졌다. 동해선이 연장되면 삼척에서 부산까지 바로 갈 수 있게 되는건 덤. 삼척역 앞 시멘트 공장. 이 시멘트 공장 때문에 화물 취급도 한다. 구 역사. 촬영 일자 : 2022.09.22 여객 철도/기타 노선 2023.02.17
삼척선 삼척해변역 [2022.09] 삼척선 삼척해변역. 1944년 삼척선 개통과 동시에 후진역이라는 이름으로 개업. 1992년 여객수요 감소로 인해 역 자체가 폐지되었다가 2001년 다시 개업하였다. 이름이 이름인지라 2003년 후진에서 삼척해변으로 이름변경을 하였고 2007년 이후로 바다열차가 정차하고 있다. 폴사인 역사 임시대합실. 원래 역무원이 없었다가 동해선 공사로 인해 삼척역까지 갔던 바다열차가 삼척해변역까지만 운행하는 관계로 역무원이 임시 대합실에서 근무 중이다. 그러나 2022년 11월 이후 터널공사로 인해 다시 추암역까지 단축되었다. 플랫폼 촬영 일자 : 2022.09.22 여객 철도/기타 노선 2023.02.16
삼척선 추암역 [2022.09] 삼척선 추암역. 1999년 개업. 2007년 이후로 바다열차가 이역에 정차하며 2022년 11월 공사로 인하여 삼척역까지 운행하는 바다열차가 이 역까지만 운행하게 되었다. 폴사인 플랫폼. 플랫폼에다 대합실까지 최소한 요소만 갖추어있다. 대합실 역명판 촬영 일자 : 2022.09.22 여객 철도/기타 노선 2023.02.15
영동선 옥계역 [2022.09] 영동선 옥계역. 1961년 개업. 2008년에 여객취급을 중지하였다. 인근에 시멘트공장이 있어 화물취급을 취급했지만 이마저도 2022년 중지되었다. 옥계역 역사. 역사에 역명판이 없어 얼핏보면 역사인지 아닌지 알아보기 힘들다. 역 내부 역명판 시멘트 공장. 촬영 일자 : 2022.09.21 여객 철도/영동선 2023.02.13
영동선 망상해수욕장역 [2022.09] 영동선 망상해수욕장역. 2000년 임시승강장으로 개업하였다. 이름에 해수욕장이 있듯이 역에서 바로 내리면 해수욕장이 있는지라 열차도 여름철에만 정차를 했다. 이후 2008년 여름철에도 열차를 통과를 하다 2014년 역사 개보수공사 이후 코로나19 사태 이전까지 다시 여름철 한정으로 기차가 서기 시작했다. 촬영 일자 : 2022.09.21 여객 철도/영동선 2023.02.12
영동선 안인역 [2022.09] 영동선 안인역. 1961년 개업. 2008년 여객취급 중지. 여객취급은 중지되었지만 역 인근에 화력발전소와 공군부대가 있어 화물역의 역할을 하고 있다. 안인역 이정표 안인역 역사. 이 뒤에 있는 건물이 화력발전소다. 화력발전소 건물. 촬영 일자 : 2022.09.20 여객 철도/영동선 2023.02.12
경전선 낙동강역 [2022.11] 낙동강역. 경전선과 경전선의 지선인 미전선의 분기역이다. 1906년 개업, 1944년 미전선이 개통되면서 분기역이 되었지만 2009년 무인역이 되었고 2010년 여객취급이 중지되었다. 현재는 공원이 되었다. 공원 앞 주차장. 도로에 차가 자주 다니므로 조심해서 건너자. 역사는 2010년에 철거되어 역사대신 역사가 있었다는 표식만 남아있다. 공원 내부. 솔직히 공원이라기보다는 그냥 공터 같다. 플랫폼도 이미 철거된지 오래. 촬영 일자 : 2022.11.05 여객 철도/경전선 2023.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