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214

호남선 임성리역 [2022.07]

호남선 임성리역. 1914년 개업. 원래 역 근처에 연탄공장이 있어 연탄을 운송는 화물노선이 따로 있었으나 연탄수요도 줄고 회사도 사라져서 1997년도에 폐선되었다고 한다. 대신 호남선과 호남고속선과 경전선의 분기역이 될 예정. 임성리역 역사. 열차가 하루에 상하행 3번밖에 안다녀서 그런가 굉장히 조그마하다. 호남고속선 공사 사무실 역사 내부 안에는 철도모형과 제복이 있다. 지하 연결 통로 플랫폼 역명판 촬영 일자 : 2022.07.15

충북선, 중앙선 봉양역 [2023.01]

충북선과 중앙선의 환승역인 봉양역. 1941년 영업개시, 1958년 충북선이 이역까지 연결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중앙선 복선전철화 공사로 인해 2015년부터 약 6년간 여객취급이 중지됐었다. 봉양역 역사. 복선화 공사를 하면서 역사도 신축하는 곳이 많지만 하루에 열차가 열두 편밖에안 다니는 역이라 그런가 역사는 기존역 벽돌역사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주차장 대합실 플랫폼. 복선화 공사로 이후로 플랫폼도 깔끔해지고 전광판이나 엘리베이터 등 편의시설도 새로 생겼다. 역명판 촬영 일자 : 2023.01.18

충북선 공전역 [2023.01]

충북선 공전역. 1959년 개업. 2008년 여객취급이 중지되었다. 현재 역사는 우드트레인이라는 목공체험시설에서 대신 사용하고 있다. 830번 버스를 타고 공전3리 정류장에 하차. 정류장에서 조금만 걸어가면 보이는 공전역 플랫폼과 역사. 대부분의 역은 역사 뒤쪽에 나무를 촘촘히 심어놔서 역이 가려지는데 운 좋게 나무 대신 철 울타리를 설치해서 편히 촬영할 수 있었다. 역명판 이후 500m정도 더 가면 보이는 공전역 정문 원래는 2층까지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이 있었으나 계단의 노후화로 인해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역사 내부. 역사는 지역주민의 발에서 관광객의 체험공간으로 변화하였다. 1박2일에도 출연한 적 있어서 1박2일 관련 작품도 많이 있다. 역사 내부에서 바라본 플랫폼 촬영 일자 : 2023.01.18

충북선 삼탄역 [2023.01]

충북선 삼탄역. 1958년 충북선 전구간이 개통됨과 동시에 개업하였다. 이후 1980년 복선화로 인해 역사를 신축하였다. 삼탄역 역사. 2016년에 리모델링을 한적이 있어서 다른 충북선역에 비해 깔끔해 보인다. 조그만한 역전광장. 새마을호 객차를 이용한 카페. 하지만 아쉽게도 카페는 커녕 잔디밭에도 들어갈 수가 없었다. 주변 풍경. 주변에 철로 이외에 사람 흔적은 보이지 않지만 그만큼 조용하고 깨끗하다. 인근에 삼탄유원지가 있는데 유원지도 삼탄역이 개업하고 나고부터 자연스럽게 형성됐다고 한다. 대합실. 마치 카페나 책방처럼 정갈하게 잘 꾸며놨다. 플랫폼 역명판. 표지판들도 나무로 이쁘게 꾸며놓은게 마음에 든다 ㅎㅎ 촬영 일자 : 2023.01.18

중앙선 고명역 [2023.01]

중앙선 고명역. 1971년 개업 후 2011년 현재의 역사를 신축하였다. 현재는 여객취급 대신 자갈 등의 화물을 취급하는 화물역이 되었다. 160번 버스를 타고 고명역 정류소에 하차. 확실히 제천역에서 4km밖에 안 걸리고 주변에도 민가가 많이 없어서 여객취급이 중지가 된 게 이해가 된다. 이정표를 따라 400m 정도 걸으면 나온다. 고명역 역사. 화물역이라 직원들 차로 추정되는 차가 여러대 보인다. 고명역 선로. 화물역이 된지 오래라 플랫폼 대신 화물열차가 정차하는 부본선이 가득하다. 촬영 일자 : 2023.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