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선 함평역 [2022.07] 호남선 함평역. 1913년 학교역이라는 이름으로 개업. 2001년에 복선화로 인해 현 위치로 이전함과 동시에 현재의 이름인 함평역으로 변경하였다. 1927년부터 1960년대까지 구 학교역에서 함평읍까지 연결하는 함평궤도라는 철도가 존재했다. 함평역 역사 역사 내부 연결 통로 플랫폼 역명판 여객 철도/호남선 2023.11.17
호남선 무안역 [2022.07] 호남선 무안역. 1913년 사창역이라는 이름으로 개명. 1985년 현재 이름인 무안역으로 바꾸고 다시 이전하였다. 그리고 2001년 복선화로 인해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지도를 무안역이라는 이름과 다르게 무안군 중심에 있는편은 아니라서 이용객수는 적은 편. 무안역 역사. 무안역에서 일로역까지 역 디자인이 다 비슷하다. 양파 조형물 역사 내부 연결 통로 플랫폼 역명판 여객 철도/호남선 2023.11.15
호남선 몽탄역 [2022.07] 호남선 몽탄역. 1913년 개업. 2001년 호남선 복선화로 역사 신축 이전했다. 몽탄역 역사 역전 광장 역사 내부. 2014년 정부 디자인 사업으로 선정돼서 다른 역에 비해 멋지게 꾸며놨다. 주민들의 몽탄역에서 있었던 이야기를 담아놨다. 대합실 겸 미니 박물관. 철도용품이랑 몽탄역의 예전 사진들이 걸려있다. 연결 통로 플랫폼 연결통로가 관리가 잘 안 되나 타일 일부분이 깨져 있다. 역명판 촬영 일자 : 2022.07.15 여객 철도/호남선 2023.11.13
호남선 일로역 [2022.07] 호남선과 대불선의 분기역인 일로역. 1913년 삼향역이라는 이름으로 개업했다가 1924년 일로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재밌는 것은 2001년 호남선 복선화로 인해 역이 이전했을때 일로읍에서 다시 삼향읍으로 바뀌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명은 그대로 유지중. 역사 역사 내부 연결 통로 플랫폼. 화물선의 분기점이라 선로가 많다. 역명판 촬영 일자 : 2022.07.15 여객 철도/호남선 2023.11.08
호남선 임성리역 [2022.07] 호남선 임성리역. 1914년 개업. 원래 역 근처에 연탄공장이 있어 연탄을 운송는 화물노선이 따로 있었으나 연탄수요도 줄고 회사도 사라져서 1997년도에 폐선되었다고 한다. 대신 호남선과 호남고속선과 경전선의 분기역이 될 예정. 임성리역 역사. 열차가 하루에 상하행 3번밖에 안다녀서 그런가 굉장히 조그마하다. 호남고속선 공사 사무실 역사 내부 안에는 철도모형과 제복이 있다. 지하 연결 통로 플랫폼 역명판 촬영 일자 : 2022.07.15 여객 철도/호남선 2023.10.31
호남선 목포역 [2022.07] 호남선의 시종착역인 목포역. 1913년 영업개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서쪽에 위치한 역이다. 호남선 이외에도 삼학선이라는 화물노선도 있었으나 2014년 폐지되었다. 목포역 역사. 2004년 KTX가 개통했을 때 동시에 신축을 했다고 한다. 호남선 종착역 표지석 폴사인 역사 내부 플랫폼 종점 역명판 촬영 일자 : 2022.07.15 여객 철도/호남선 2023.10.31
충북선, 중앙선 봉양역 [2023.01] 충북선과 중앙선의 환승역인 봉양역. 1941년 영업개시, 1958년 충북선이 이역까지 연결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중앙선 복선전철화 공사로 인해 2015년부터 약 6년간 여객취급이 중지됐었다. 봉양역 역사. 복선화 공사를 하면서 역사도 신축하는 곳이 많지만 하루에 열차가 열두 편밖에안 다니는 역이라 그런가 역사는 기존역 벽돌역사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주차장 대합실 플랫폼. 복선화 공사로 이후로 플랫폼도 깔끔해지고 전광판이나 엘리베이터 등 편의시설도 새로 생겼다. 역명판 촬영 일자 : 2023.01.18 여객 철도/충북선 2023.10.18
충북선 공전역 [2023.01] 충북선 공전역. 1959년 개업. 2008년 여객취급이 중지되었다. 현재 역사는 우드트레인이라는 목공체험시설에서 대신 사용하고 있다. 830번 버스를 타고 공전3리 정류장에 하차. 정류장에서 조금만 걸어가면 보이는 공전역 플랫폼과 역사. 대부분의 역은 역사 뒤쪽에 나무를 촘촘히 심어놔서 역이 가려지는데 운 좋게 나무 대신 철 울타리를 설치해서 편히 촬영할 수 있었다. 역명판 이후 500m정도 더 가면 보이는 공전역 정문 원래는 2층까지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이 있었으나 계단의 노후화로 인해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역사 내부. 역사는 지역주민의 발에서 관광객의 체험공간으로 변화하였다. 1박2일에도 출연한 적 있어서 1박2일 관련 작품도 많이 있다. 역사 내부에서 바라본 플랫폼 촬영 일자 : 2023.01.18 여객 철도/충북선 2023.10.16
충북선 삼탄역 [2023.01] 충북선 삼탄역. 1958년 충북선 전구간이 개통됨과 동시에 개업하였다. 이후 1980년 복선화로 인해 역사를 신축하였다. 삼탄역 역사. 2016년에 리모델링을 한적이 있어서 다른 충북선역에 비해 깔끔해 보인다. 조그만한 역전광장. 새마을호 객차를 이용한 카페. 하지만 아쉽게도 카페는 커녕 잔디밭에도 들어갈 수가 없었다. 주변 풍경. 주변에 철로 이외에 사람 흔적은 보이지 않지만 그만큼 조용하고 깨끗하다. 인근에 삼탄유원지가 있는데 유원지도 삼탄역이 개업하고 나고부터 자연스럽게 형성됐다고 한다. 대합실. 마치 카페나 책방처럼 정갈하게 잘 꾸며놨다. 플랫폼 역명판. 표지판들도 나무로 이쁘게 꾸며놓은게 마음에 든다 ㅎㅎ 촬영 일자 : 2023.01.18 여객 철도/충북선 2023.10.11
중앙선 고명역 [2023.01] 중앙선 고명역. 1971년 개업 후 2011년 현재의 역사를 신축하였다. 현재는 여객취급 대신 자갈 등의 화물을 취급하는 화물역이 되었다. 160번 버스를 타고 고명역 정류소에 하차. 확실히 제천역에서 4km밖에 안 걸리고 주변에도 민가가 많이 없어서 여객취급이 중지가 된 게 이해가 된다. 이정표를 따라 400m 정도 걸으면 나온다. 고명역 역사. 화물역이라 직원들 차로 추정되는 차가 여러대 보인다. 고명역 선로. 화물역이 된지 오래라 플랫폼 대신 화물열차가 정차하는 부본선이 가득하다. 촬영 일자 : 2023.01.18 여객 철도/중앙선 2023.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