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선 문경선 점촌역 [2023.09] 경북선과 문경선의 환승역 점촌역. 1924년 개업. 1969년 신축 이전하였다. 경북선이 개량되면 문경역과 더불어 이 역에도 KTX가 정차할 예정이다. 점촌역 역사 역사 내부 옹기로 만든 조형물. 문경선 플랫폼. 물론 문경선에 열차가 다니지 않는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경북선 플랫폼 역명판 촬영 일자 : 2023.09.08 여객 철도/경북선 2024.07.11
경북선 함창역 [2023.09] 경북선 함창역. 1924년 개업. 2030년 경북선이 개량되면 폐역될 예정이다. 함창역 역사. 역전의 의문의 구조물. 처음엔 군사시설인줄 알았으나 나중에 찾아보니 누에 저장용 냉장고를 형상화한 미술 작품이라고 한다. 함창이라는 곳이 원래 누에로 유명하다고. 역사 내부. 지금은 직원없이 텅 비어있으나 2015년 함창 아트로드라는 예술 관련 이벤트를 했을 당시에는 내부도 예술 작품으로 가득 찼다고 한다. 누에고치 모양 조형물. 아까 전의 조형물도 그렇지만 아트로드 행사때 설치하고 그대로 둔 걸로 보인다. 플랫폼 역명판 촬영 일자 : 2023.09.08 여객 철도/경북선 2024.06.30
경북선 백원역 [2023.09] 경북선 백원역. 1924년 개업. 근처에 은척탄광이 있어서 과거엔 화물도 사람도 자주 오가던 곳이었으나 2005년 은척탄광이 폐광된 이후 화물 취급이 중지 되었고, 2008년 12월 여객 취급 마저 중지되었다. 백원역 역사. 역명판. 여객 취급 중지도 15년 이상 지나서 그런지 역명판도 벗겨졌다. 한참 전에 여객취급이 중지되었지만 역전에 행사가 있었다. 하지만 행사도 5년 전을 마지막으로 중지된 모양이다. 역사 내부 역사 뒷부분 촬영 일자 : 2023.09.08 여객 철도/경북선 2024.06.27
경북선 상주역 [2023.09] 경북선 상주역. 1924년 개업. 경북선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곳인 만큼 이 역의 승하차량이 경북선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상주역 역사. 자전거 주차장. 전국에서 1인당 자전거 보유율이 높은 시인 만큼 자전거 주차장도 잘 구비되어 있다. 역사 내부 플랫폼역명판 촬영 일자 : 2023.09.08 여객 철도/경북선 2024.06.15
경부선, 경북선 김천역 [2023.09] 경부선 경북선 김천역. 경북선의 시발역이기도 하다. 1905년 개업. 이후 남부내륙선 김천역 역사. 김천역 역전 광장. 역사 내부. 경부선 플랫폼 역명판 경북선 플랫폼. 경북선은 이용객수가 적어서 그런가 경부선과 달리 지붕도 없다. 역명판 촬영 일자 : 2023.09.08 여객 철도/경부선 2024.06.14
호남선 부황역 [2023.01] 호남선 부황역. 1955년 개업. 2007년 여객취급이 중지되었다. 부황역 역사. 원래 역사도 있었으나 승객수가 적어서 역사도 철거되었다. 지금은 당시 시설관리반 건물을 역사로 사용하고 있다. 플랫폼 또다른 시설관리반 건물 촬영 일자 : 2023.01.28 여객 철도/호남선 2024.04.21
장항선 오가역 폐역 [2023.03] 장항선 오가역. 1967년 6월에 개업. 그러나 2004년 7월 여객취급이 중지되었고 2008년 11월 장항선 직선화 공사가 완료되면서 공식적으로 폐역되었다. 대합실 건물. 원래는 대합실 건물 말고 역사와 플랫폼도 있었지만 현재는 대합실 건물만이 오가역의 흔적을 남기고 있다. 내부는 주민들의 창고로 쓰이고 있다. 이렇게 보면 미리 알고 있지 않은 이상 대합실로 쓰였던 시설이라고 믿기기 힘들다. 눈치를 챘을지도 모르지만 폐선부지 치고 아스팔트가 굉장히 새것 같은데 당시 폐선 부지를 활용해 주민들의 산책로로 만드는 공사가 진행 중이었다. 지금은 무사히 개통되었다고. 도로 쪽에서 다시 한 컷. 다행히도 현재는 도로의 갓길 일부분에 레일을 설치해 이곳이 선로이자 역이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고 한다. 촬영 일.. 여객 철도/장항선 2024.04.16
장항선 예산역 [2023.03] 장항선 예산역. 1922년 개업. 2008년 현재 역사로 신축이전하였다. 예산역 역사. 차로 10분 정도 걸리는 예당저수지를 모티브로 지어졌다고 한다. 솔직히 그다지 저수지 같다는 느낌은 들지 않지만... 역사 내부. 내부도 마찬가지로 동그랗다. 연결 통로 플랫폼 역명판 촬영 일자 : 2023.03.29 여객 철도/장항선 2024.04.15
장항선 삽교역 [2023.03] 장항선 삽교역. 1923년 개업. 1973년에 잠시 수덕사역으로 개명되었지만 수덕사가 역에서 꽤 멀어서 그런지 8년만에 다시 환원하였다. 삽교역 기차순례 기념비. 허나 교황의 순례를 지역 핌피에 이용하고 있는 언론 기사들이 있어 굉장히 씁쓸하다. 역사 역사 내부 플랫폼 역명판 촬영 일자 : 2023.03.29 여객 철도/장항선 2024.04.02
장항선 홍성역 [2023.03] 장항선 홍성역. 1923년 개업. 2008년 장항선 직선화로 인해 현 위치로 확장이전하였다. 추후 서해선이 개통되면 장항선과 서해서의 분기역이 될 예정이다. 홍성역 역사. 다른 역과 달리 한옥으로 되어있고 역명판 글씨체도 궁서체인게 큰 특징이다. 민족열사 추모탑. 한용운, 김좌진 등 독립을 위해 헌신한 위인들의 동상이 그려져 있다. 자전거보관소 역사 내부 연결 통로 플랫폼 서해선 플랫폼. 서해선은 요즘 트렌드에 맞게 고상홈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명판 촬영 일자 : 2023.03.29 여객 철도/장항선 2024.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