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155

9호선의 시발점, 서울 9호선 개화역

서울 9호선 개화역. 9호선의 유일한 지상역이자 스크린도어가 없는 역이다. 인근에 광역환승센터와 9호선 김포차량기지가 있다. 개화역 역사 개화역 광역환승센터. 개화역하고 연결통로로 연결되있다. 바로 앞에 강서공용버스차고지가 있어서 겸사겸사 만들었나보다. 개화역 1번 출구 1번 출구 폴사인 2번 출구 폴사인 내부 안내판 대합실. 생각보다 큰 규모에 놀랐다. 기지 근처에 있는 역인줄 알고 광주 1호선 평동역이나 7호선 장암역 같은 분위기를 생각했던 내가 바보였다. 부정승차 적발 안내문. 서울 9호선 전광판 광고. 역세권 시설뿐 만이 아니라 역사 내부시설도 홍보하고 있다. 그나저나 9호선에는 너무나도 많은 사람이 함께하지 않... 플랫폼. 코레일 소속 역을 제외한 서울에 있는 역중에 스크린도어가 없는 유일한 ..

도심의 과거의 종착역, 서울 9호선 신논현역

서울 9호선 신논현역. 2015년 3월까지 서울 9호선의 종착역이었다가 종합운동장 2차 연장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다. 차후에 신분당선이 연장되면 신분당선과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신논현역 5번 출구. 신'논현'역이지만 5,6번 출구는 역삼동에 있다. 캐노피에 붙여 있는 열차 도착 안내 LED. 3번 출구 3번 출구 폴사인 출구 유리문에 붙여져 있는 서울9호선운영 로고. 대합실. 1회용 교통카드 판매기 및 교통카드 충전기. 지폐교환기. 오락실에나 있을 법한 지폐교환기가 의외로 지하철역에 있다니..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갈 때 본 의문의 공간. 무슨 이유로 따로 공간을 비워뒀을까... 당역 종착 플랫폼. 지금은 종합운동장 방면 플랫폼이 되어 있다. 역명판 개화방면 플랫폼 열차도착안내 LED. 9호선은 급..

대전 자기부상열차 근황

최근 엑스포 과학공원에서 운영하는 자기부상열차가 철거 됬다는 이야기를 듣었다. 하지만 요즘 학업 + 약간의 귀차니즘으로 내 사촌동생이 그쪽에 갈 일이 있어 대신 나가서 촬영하고 왔다. 대신 촬영해준 사촌동생에게 감사의 인사를. 결국 초뒷북이었지만 운행 중지라는게 기정사실화가 되었다. 다행히 일시적인 운행 중단일뿐이었다. 근데 단축공사라는게 마음에 걸리지만... 아쉽게도 동생이 선로부분을 찍질 못해서 더 자세한 정황은 보지 못했다. (사실 사진이 이게 전부...) 요즘 엑스포 과학공원 전체적으로 낙후화가 되있어서 철거후 재건설한다던데 자기부상열차도 예외는 아니었다. 더군다나 한밭수목원 연장도 무산되고 재개발을 위해 노선 단축이 불가피해졌다. 그래도 이게 다 나중을 위한거니...

수도권 전철 2015.08.24

분당선 미금역

분당선 미금역. 차후에 신분당선과 환승예정인 역이다. 미금역 6번 출구. 미금역은 북쪽은 금곡동, 남쪽은 구미동 관할이라 구미동과 금곡동의 이름을 하나씩 따서 미금역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당시 아이러니하게도 개통당시 경기도에 미금시라는 행정구역이 있었으나 1995년도에 남양주에 통합됬다고 한다. 출구 내부 역명판 7번 출구 출구 내부 역명판 대합실. 아침에 촬영한지라 가게들는 거의 열지 않았다. 상행 플랫폼 역명판. 3호선과 연계되서 노선색이 주황색이던 시절의 역명판이 아직 남아 있다. 하행 플랫폼. 좀 오래전에 찍어서 사진속에는 없지만 현재 분당서울대병원이라는 부역명이 추가 되었다. 벽에 그려진 타일화. 역명판 촬영 일자 : 2013.01.11작성 일자 : 2015.08.14

침소봉대, 경의중앙선 신촌역

이번에 소개할 역은 경의중앙선 신촌역. 남서쪽 700M 되는 지점에 동명의 2호선 역이 있지만 환승이 되지 않는다. 2호선 신촌역과 헷갈리지 않기 위해 버스정류장을 이 신촌역을 신촌기차역이라고 구별해서 부른다. 신촌역 역사. 신촌역의 민자역사 밀리오레. 신촌역의 저조한 실적 때문에 메가박스를 제외한 매점들은 거의 문을 닫아버렸다.. 역광장 조형물 신촌역 구 역사. 그대로 보존하지는 않고 철거 후 복원했다. 구 역사 내부. 일산역과 달리 구 신촌역은 내부를 개방해 관광 안내센터로 활용하고 있다. 장식용 복선전철화 전 신촌역 시간표. 전시용이라 붙인걸 보니 전동차 시간표하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나 보다... 복고풍 출입문. 2번 출구. 대합실. 웅장한 역사와 달리 대합실에는 사람이 별로, 아니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