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LUU_WB210 467

부산김해경전철 사상역 [2015.05]

부산김해경전철 사상역. 부역명은 서부터미널. 2011년 부산김해경전철 개통에 따라 개업하였으며 부산 2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차후에 사상하단선과 환승이 될 예정이다. 인근에 경부선 사상역과 부산서부버스터미널이 있다. 주변에 다양한 연계 교통 덕에는 승하차 객수는 부산김해경전철 역중 1위. 원래 부산 2호선도 촬영하는게 맞겠지만 스케줄 상 어쩔 수 없이 부산김해경전철 역사만 촬영하게 되었다. 역사 전경 폴사인 대합실. 역시 경전철 역이라 규모는 아담하다. 플랫폼 역명판 촬영 일자 : 2015.05.04

경부선, 가야선 사상역 [2015.05]

경부선과 가야선의 환승역인 사상역. 인근에 부산 2호선과 부산김해경전철 사상역과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차후에 부산-마산 복선전철이 개통 되며 이에 맞쳐 기차역과 도시철도 사상역을 복합환승센터로 개발 될 예정이다. 1980년대에 사상역과 부산역과 통합할려는 움직임이 있었다고 한다. 역사 전경. 시내 안의 조그만한 간이역 모습이 복선전철화 이전 수색역이나 서빙고역을 떠오르게 한다. 하지만 이 모습도 몇 년 뒤에는 통합역사 건설로 인해 사라질 예정이다. 부전-마산 복선전철 공사 현장. 역전 공원. 경부선 사상역만 본다면 부산시가 아닌 어떤 군 어떤 면의 간이역을 방문하는 것만 같다. 대합실 플랫폼. 특이한 점이라면 상행 무궁화호에 서울행 열차가 존재하지 않는다. 사상에서 동대구 이북으로 가려면 구포에..

경부선 구포역 [2015.05]

경부선 구포역. 서부산 지역의 대표역이며 승하차수는 부산시의 기차역 중 부산역에 뒤를 이어 2위이다. 덕분의 경부선의 거의 모든 무궁화호와 새마을호, 일부 KTX가 구포역에 정차한다. 인근의 도시철도 역으로는 앞쪽에 3호선 구포역이 있고, 뒷쪽에 2호선 구명역이 있다. 1989년 이 역 부터 해운대역까지 동서통근열차가 운행한 적이 있으나 2호선이 완전 개통된 2002년 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 역사 전경 역전 공원 구포역전광장에 세워진 비석. 준공일이라는 말 때문에 구포역 신축 기념비인줄 알았으나 그냥 철도찬양비석이었을 뿐이었다. 준공일은 저 비석을 세운 날일 뿐이고... 역사 내부. 부산 제 2의 역에 걸맞지 않게 내부는 조금 좁아 보인다. 열차 도착 안내 LED. 다양한 행선지를 가진 열차가 운행하고..

부산 3호선 구포역 [2015.05]

부산 3호선 구포역. 2005년에 개통되었다. 윗쪽의 화명역과 달리 경부선 구포역와의 거리가 100m 정도로 가깝다. 역사 전경 폴사인 역사 정원 3번 출구 대합실 우대권 발급기. 그냥 뽑아서 주다가 욕 엄청 먹은 서울도시철도 구형 발급기 식이 아닌 신분증을 찍어야 주는 형식이다. 구포역 전망대. 바로앞에 낙동강이 있어서 설치했다. 전망대 안쪽으로 들어가 보았다. 왼쪽에 바로 낙동강이 보인다. 전망대에서 촬영해 본 3호선 전동차 플랫폼 역명판 촬영 일자 : 2015.05.04

부산 3호선, 부산김해경전철 대저역 [2015.05]

부산 3호선과 부산김해경전철의 환승역 대저역. 부산 3호선의 시종착역이며 따라서 인근에 대저차량기지가 있다. 역 주변에는 정말 아무것도 없지만 환승역인데다가 소프트환승역이라 다른 환승역과 달리 승객수가 뻥튀기가 되어서 강서구에 있는 역중 승하차 1위이다. 애초에 강서구 자체가 지하철을 많이 이용할 곳은 아니지만... = 부산 3호선= 3호선 대저역 대저역 1번 출구 폴사인 대합실 플랫폼 역명판. 특이하게 역명판이 플랫폼 밖에만 있다. == 부산김해경전철 == 부산김해경전철 역사 부산김해경전철 폴사인 대합실 김해국제공항 광고. 근데 왠지 자료가 뻥튀기가 있을거 같을게 수상하다.. 플랫폼 열차 도착 안내 LED 역명판 촬영 일자 : 201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