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04

중앙선 모량역 [2021.04]

중앙선 모량역. 1922년 광명역이라는 이름으로 개업했다가 1939년 모량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후 2001년 이름만 유지된 채 한자가 毛良에서 牟梁으로 바뀌었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때 강제로 행정구역이 통합될 때 쓴 한자를 다시 고치기 위함이었다. 1998년부터 이미 모량역 소재지인 모량리에서는 한자를 바꾸었다고. 그 이후, 2007년 여객취급이 중지되었고 2021년 12월 28일 부로 이전 되었다 건천역에서 338번을 타고 모량역 정류장에 하차. 모량역은 정류장에서 약 200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다. 정류장에서도 바로 보일 정도. 신 모량신호장. 2021년 12월 28일 이후로 이곳으로 이전되었다. 이곳에서 중앙선과 동해선이 분기가 되기 때문에 남겨둔 것. 물론 신호장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신호장..

중앙선 건천역 [2021.04]

중앙선 건천역. 1918년에 개업하였다. 원래는 2008년 주변 역같이 여객취급을 중지하였으나 6개월만에 다시 무궁화호가 다니기 시작했다. 하지만 2021년 12월 28일부로 중앙선 복선전철화 개통으로 인해 폐업했다. 이정표. 곧 폐역될 운명을 알리는 듯 쩍쩍 금이 가있다. 역사. 역사는 우리가 간이역하면 떠오르는 그 모습이다. 대합실. 2021년 2월부로 건천역 내에서 표를 구매할 수도 없다. 곧 있으면 역도 없어지니 하나 둘씩 줄여나가는 듯. 단 역무원은 그대로 계신다. 플랫폼 역명판. 촬영 일자 : 2021.04.27

새로 이전한 유성시외버스정류소

2021년 8월 12일, 유성시외버스정류소가 40년 만에 구암역 옆 유성복합터미널 건설부지로 임시 이전하게 되었다. 원래는 유성복합터미널이 완공되면 그때 이전할 예정이었으나 터미널 사업도 잘 안되는대다가 기존 시외버스 정류장도 노선수와 이용객 수에 비해 너무 좁고 낡아서 말이 많았기에 완공 전에 먼저 이전하기로 결정했다고. 필자도 안 그래도 광복절에 약속도 있기도 해서 잠시 이전한 정류소에 가보기로 했다. 참고로 유성'고속'버스터미널은 이전하지 않았으니 주의. 완공까지 약 5년간 임시로 쓰게 될 유성시외버스정류소. 임시 건물이라고 해서 컨테이너 가건물로 지을 줄 알았는데 꽤나 웅장하고 멋있게 지어졌다. 세븐일레븐과 커피숍 등 기존에 입점해 있던 편의시설도 그대로 이전했다. 기본적으로 터미널에 있을 건 다..

버스 2021.08.22

충북선 내수역 [2017.11]

충북선 내수역. 청주시에 위치한 역 중 유일하게 여객취급을 하지 않는 역이다. 그러나 내수 자체가 읍인데다가 역전에 아파트단지와 내수읍에 충북보건과학대학교가 위치해있어 지역주민 사이에서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을 내수역까지 연장해달라는 여론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여론만 나올 뿐 정부에서는 크게 연장해달라는 여론을 검토하지는 않는 듯 하다. 촬영 일자 : 2017.11.16

중앙선 신림역 [2016.05]

중앙선 신림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림역하고 한글은 같지만 한자는 다르다. 인근 역과 같이 중앙선 복선전철화 이후로는 폐역될 예정이다. 신림역 이정표. 신림역 진입로 역사. 일부분은 숲 그림이 벽화가 그려져있다. 대합실 열차 시간표, 오전 하행은 강릉(당시는 정동진까지), 오후 하행은 제천까지 운행한다. 신림역 인근 여행 안내판 대합실에 있는 귀여운 앵무새들. 플랫폼 역명판. 구형과 신형이 혼재되어있다. 통행로 승강장쪽에서 촬영한 신림역 역사 신림역 후문. 뒷쪽으로 감악산 등산로와 연결되어있다. 촬영 일자 : 201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