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호선, 9호선의 유일한 환승역인 노량진역. 1899년 조선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 개통 당시의 서울(당시 노량진은 시흥군 소속)의 시발역이었다. 그래서 노량진역 선로변에 철도시발지 기념비를 설치했다. 기념비보러 막 들어갈 수는 없지만 노량진역에서 상행 열차를 타고 오른쪽에 서 보면 보인다. 9호선 개통 이후로 몇 년동안 환승통로가 없어 서울역과 더불어 수도권에서 유이한 간접환승역이었지만 2015년 환승통로가 개통됨으로써 수도권에서의 간접환승역은 서울역이 유일하다.
노량진역 역사. 서울 지하철 보다 더 이른 1971년에 완공되었다. 당시 사진을 육교에서 촬영했지만 시설 노후화와 민원등으로 지금은 철거되었다.
1호선 1번 출구. 동인천급행 플랫폼 한정 바로타 출구이다.
1호선 2번 출구. 노량진역도 민자역사가 될 뻔했지만 사업자가 도망을 가서 사업이 취소됬다고 한다... 환승통로가 늦게 완공된 이유도 이 일 때문이다.
9호선 2번 출구 폴사인
9호선 2번 출구
9호선 3번 출구 폴사인
9호선 3번 출구.
1호선 대합실
플랫폼간 연결 통로
상행 완행 플랫폼. 이 플랫폼 우측에 저상 플랫폼이 남아있다. 통일호(폐지 후 무궁화호)가 그곳에 정차했지만 2005년 이후로 노량진역에는 전철만 정차한다.
금연 표지판. 구석에 있어서 그런지 아직도 구형 CI가 남아 있었다.
1호선 상행 역명판
완행 하행 플랫폼
1호선 하행 역명판
1호선 환승 안내판
9호선 대합실
대합실 내의 시계
9호선 상행 플랫폼
상행 역명판
9호선 하행 플랫폼
하행 역명판
촬영 일자 : 2014.01.20
작성 일자 : 2016.02.06
'수도권 전철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5호선 서대문역 (0) | 2016.02.11 |
---|---|
서울 도심 한복판, 서울 5호선 광화문역 (0) | 2016.02.09 |
땅 위에서 땅 아래로 이사, 분당선 보정역 (2) | 2015.12.17 |
서울 1호선 제기동역 (1) | 2015.12.15 |
경기 북부 최대의 역, 경원선 의정부역 (0) | 2015.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