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선 5

경북선 용궁역 [2023.09]

경북선 용궁역. 1928년 개업. 1944년 일제의 철로 철거로 인해 폐역 되었지만 1966년 재개통되었다. 이름이 이름인지라 예천군의 관광명소가 되었다. 용궁역 역사. 분홍색 페인트로 칠해져 있어 경북선 역 중에서 가장 예뻐보인다. 아쉽지만 역사 내부는 당시에 인테리어 공사 중이라서 들어가 볼 수가 없었다. 한때는 역내에서 토끼간빵을 팔았다고도 한다. 벽화. 용궁역답게 별주부전을 모티브로 만들었다. 12해신상. 동상이 12개 있어서 12지신인줄 알았는데 용궁인것을 감안해 12지신이 아니라 청새치, 복어 등의 12'해'신 동상으로 구성되었다. 12지신 이외에 12해신이 따로 있다는 걸 처음 알게 되었다.. 공원. 공원에 이런 조형물과 체험존, 카페 등이 있다. 필자가 다녀올 당시에는 공사 중이었으나 현재..

경북선 함창역 [2023.09]

경북선 함창역. 1924년 개업. 2030년 경북선이 개량되면 폐역될 예정이다. 함창역 역사. 역전의 의문의 구조물. 처음엔 군사시설인줄 알았으나 나중에 찾아보니 누에 저장용 냉장고를 형상화한 미술 작품이라고 한다. 함창이라는 곳이 원래 누에로 유명하다고. 역사 내부. 지금은 직원없이 텅 비어있으나 2015년 함창 아트로드라는 예술 관련 이벤트를 했을 당시에는 내부도 예술 작품으로 가득 찼다고 한다. 누에고치 모양 조형물. 아까 전의 조형물도 그렇지만 아트로드 행사때 설치하고 그대로 둔 걸로 보인다. 플랫폼 역명판   촬영 일자 : 2023.09.08

경북선 백원역 [2023.09]

경북선 백원역. 1924년 개업. 근처에 은척탄광이 있어서 과거엔 화물도 사람도 자주 오가던 곳이었으나 2005년 은척탄광이 폐광된 이후 화물 취급이 중지 되었고, 2008년 12월 여객 취급 마저 중지되었다. 백원역 역사. 역명판. 여객 취급 중지도 15년 이상 지나서 그런지 역명판도 벗겨졌다. 한참 전에 여객취급이 중지되었지만 역전에 행사가 있었다. 하지만 행사도 5년 전을 마지막으로 중지된 모양이다. 역사 내부 역사 뒷부분  촬영 일자 : 2023.09.08

영주역 [2015.10]

중앙선, 영동선, 그리고 경북선의 환승역인 영주역. 개업 초기에 영주역은 이 곳이 아닌 현 중앙시장 부근에 있었지만 1973년 시가지 확장으로 인해 현 장소로 이전하게 되었다. 그리고 지금 그 자리에 영주역 대신 구 영주역이 있었다는 기념비가 남아있다. 역사 전경. 세 노선이 만나는 역이라 규모는 크다. 그와중에 관광버스가 역 입구 바로 앞에서 승객들을 기다려주고 있다. 광장 앞에 설치된 ATM 폴사인 역전 풍경. 시라는 명성에 어울리지 않게 시골스럽다... 고층건물도 없고 심지어 횡단보도에 신호등마저 없다. 대합실 도착 안내 LED 복돼지 돌상과 성금함. 성금은 영주의 불우이웃을 돕는데 쓰인다고 한다. 영주시 관광안내 LCD 여행상담센터. 환승역이라 여행객, 특히 내일로 승객이 많이 이용하는지라 코레일..